본문 바로가기

문학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시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 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 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 강은교 시집 '우리가 물이 되어' 1987년 문학사상사에서 간행


 

 

시가 담고 있는 심오함이 너무 커서 숨이 콱 막혀오던 날이 있었다. 

가라앉히자고 두 손으로 가슴 두드리며 나를 제어했어야 했다.

물로 만나자는데 나는 늘 불을 기다렸다. 

고요의 물 흐름을 기다리기에는 너무 젊은 시절에 만난 시였다. 

흐르는 강물처럼 살아낸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를 아직 잘 알지 못했던 시절이었다. 

 


 

 

어느 날 신문 기사 속에서 시인이 남북 관계를 소재로 이 글을 썼다는 말에 그만 맥이 풀렸던 기억도 갖고 있다. 

그러나 나는 처음 이 시를 읽던 그 감 그대로 지니고 있기로 했다. 

여전히 그 감으로 늘 이 시를 읽는다. 

 

흐르는 물로 만나자, 우리!

라는 소원을 하기에는 이미 늦었을가. 

 

너끈히 서로를 감당해낼 수 있도록 은은한 만남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불같이 일지 않고

물같이 고요한 만남이었다면~

 


 

 

강은교 시인은 건강하신지~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집에 와서 다 죽었다 - 유홍준 시  (0) 2022.05.04
반성 - 함민복  (2) 2022.05.03
여승 - 백석 시  (2) 2022.04.27
새 날 - 이병률  (0) 2022.04.10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떠올리면서 1  (6) 202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