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미술

S2A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윤형근필(筆)과 묵(墨)의 세계: 3인의 거장2025.2.4. - 2025.3.22.

반응형

S2A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윤형근필(筆)과 묵(墨)의 세계

: 3인의 거장 2025.2.4. - 2025.3.22.

 

- S2A 전시회 '필묵의 세계'에 나오는 3인의 거장 중
-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 1786~1856년) 글씨를 살펴보자.

한자의 서체는 전(篆), 예(隸), 해(楷), 행서(行書), 초(草) 
서체가 있는데 정자에 해당하는 게 해서체이고
나머지 글씨체들은 익숙하지 않아 어렵다.

아무튼 작품 감상하고 왔으니 검색해 보고 간단한 스케치

예전 현판은 우에서 좌로 읽어요.

물론 김정희의 어떤 작품은 좌에서 우로 읽게 쓴 작품도 있어요.

 

 

김정희의 글씨 토위단전


1. 토위단전 (吐爲丹篆)
    吐 토할 토/ 爲 할 위/ 丹 붉을 단/ 篆 전자 전
    예스러운 글씨를 쓰다
    * 단전은 전서(글씨체)

 

김정희의 글씨 은지법신


2. 은지법신(銀地法臣)
    은지는 절집, 법신은 부처를 뜻함,
    즉, 법당 안의 부처님
   * 전서, 예서, 해서, 행서가 어울린 작품이라 함

 

김정희의 글씨 유재



3. 유재(留齋) 
  서재에 머문다는 뜻.  '재'자는 책이 있는 방
  끝에 阮堂題(완당제)는 완당이 썼다는 뜻.
  완당은 김정희의 또 다른 호

 

김정희의 난

 

 

마지막 사진 속 작품인 김정희의 난은 따라 그려보고 싶어 찍어왔다.

꼭 해야지.

 

한양행 일기는 서너 날은 더 쓸 듯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