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드러냄표(숨김표)
자, 한글 문장부호의 두 번째 장.
안드러냄표, 즉 숨김표를 알아본다.
‘숨김표’. ‘안 드러냄표’는 ‘XX’ 혹은 ‘OO’를 문장부호로 사용한다.
어떤 낱말 혹은 구절을, 알면서도 고의로, 일부러 글 위에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글을 쓰는데 자기 생각을 드러내지 않고 싶겠는가. 혹은 숨겨야 하겠는가.
한데 있다.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를 들 수 있겠다.
안 드러냄표는 그 글자의 수만큼 쓰면 된다.
문장 속에 비밀을 유지해야 할 사항이 있는 경우 그 글자의 수만큼 ‘안 드러냄표’를 쓴다. 이 세상에 어디 비밀이라는 것이 가능하겠느냐고 하지만 당장 ‘비밀’의 창고에 들어 앉히고 싶은 사실 혹은 내용이 있다. 안 드러냄표를 쓴다.
예 1) 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OO란 말이 나올 수 있느냐? (‘새끼’라는 말을 숨겼다.)
예 2) 제 할 일을 당연한 듯 남에게 미룬 부장은 갑질까지 했다. 점심을 먹는 모습이 꼭 ‘XX’같았다. (‘돼지’라는 낱말을 숨겼다.)
예 3) ‘저런 O 같은 인간!’ (‘개’라는 낱말을 숨겼다.)
반응형
'문학 > 바로 쓰고 바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향백리에 대한 오마주 - 난향백리 (64) | 2024.06.05 |
---|---|
step과 stride (52) | 2024.06.03 |
드러냄표 - 한글 문장부호 중 (62) | 2024.05.28 |
배지 (57) | 2024.05.06 |
영수 회담과 모두발언 (86)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