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바로 쓰고 바로 읽기

'느리다'와 '늘이다'와 '늘리다'

반응형

 

'느리다'와 '늘이다'와 '늘리다'

 

쭉쭉 늘어지게 잤더니만 ~ 그래서요? 어찌 되었나요? 보세요. 안 보이시나요? 

 

누가 그것을 구분 못 해?

라고 말하고들 싶으리라.


 

오호, 의외로 위 세 낱말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 제법 있어요. 있다고요. 

'의외'가 아니에요. 뜻밖에 구분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니까요.


 

자, 가 봅시다요.

각 낱말들이 사용되는 문장을 먼저 적어보자면


 

느리다 : 거북이는 느리게 걷는 동물이라고 옛날이야기에 나오잖아. 거북이가 동화 속 자기 모습을 알고 있을까?

           위 낱말은 '속도'를 언급할 때 사용하지요. 

늘이다 : 그 정도의 끈으로는 내 머리숱이 너무 많아서 묶을 수가 없어. 끈을 한 개 더 묶어서 머리끈을 더 늘여주렴

           위 낱말은 '길이'를 표현할 때 쓰고요.

늘리다 : 에구머니나, 살이 쪄서 치마 허리가 안 맞네. 세탁소에 가서 치마허리를 좀 늘려야 되겠어.

           위 낱말은 '넓이', '부피', '무게'의 변화를 드러낼 때 가져오지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가져옴

- 느리다 : 속도가 너무 느리다. 진도가 너무 느리다.

느리다 형용사
  • 1.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행동이 느리다.
  • 2.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나 기간이 길다. 진도가 느리다.
  • 3. 기세나 형세가 약하거나 밋밋하다. 느린 산비탈.

 

- 늘이다 : 고무줄을 늘인다.

늘이다 1  동사 
  • 1. 본디보다  길어지게 하다.
  • 2.  따위를 연장하여 계속 긋다.
  • 1. 아래로 길게 처지게 하다.
  • 2.동사 넓게 벌여 놓다.

 

- 늘리다 : 수출량을 더 늘린다.

  • 1. 물체의 넓이, 부피 따위를 본디보다 커지게 하다.
  • 2. 수나 분량 따위를 본디보다 많아지게 하거나 무게를  나가게 하다. ‘늘다 사동사.
  • 3. 힘이나 기운, 세력 따위를 이전보다  상태로 만들다. ‘늘다 사동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