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오'와 '~이요'
-. '~이오' : 종결형(밤하늘에 보름달이 찬란하오.)
-. '~이요' : 연결형(내 삶의 재미는 음악이요, 그림이요, 운동이오.)
위 어미는 글을 쓸 때 많은 오류가 발견된다.
이는 문장의 '연결형'에 쓰이냐 '종결형'에 쓰이냐로도 구분된다.
그 규칙을 보자
1. 원형은 '~이오'이다.
2.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가 ‘-요-’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오-’로 표기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책이요. ⇒ 이것은 책이오. - 이것은 책이요.(×)/이것은 책이오.(0)
이리로 오시요. ⇒ 이리로 오시오. - 이리로 오시요.(×)/이리로 오시오.(0)
3. 연결어미에서는 ‘-요’를 허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종결형에서는 모든 용언의 어간에 ‘-오’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므로 ‘-오’를 택하고 연결형에서는 서술격 조사(이른바 잡음씨 또는 지정사) ‘이다’의 어미로만 나타나므로 ‘-요’를 택한 것이다.
이것은 책이오, 저것은 붓이오.(×)/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붓이오.(0)
4. 이런 경우도 있다. 특별한 경우이다. (한글 맞춤법 제 15 항 붙임 2, 3)
이것을 사겠오.(×)/이것을 사겠소.(0)
위 내용은 (한글 맞춤법 제 15 항 붙임 2, 3)를 가져와서 편집한 것입니다.
반응형
'문학 > 바로 쓰고 바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잼씀둥의 '둥' (2) | 2022.03.10 |
---|---|
'가리키다'와 '가르치다' (1) | 2022.03.09 |
'느리다'와 '늘이다'와 '늘리다' (0) | 2022.03.05 |
'갑자기'냐 '갑짜기'냐~ (4) | 2022.03.01 |
우리 말, 바로 쓰고 바로 읽어요. (1)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