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강대국 중국도 조심하고 있는 나라가 인도다?
- 유튜브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인도 32부
'강대국 중국도 조심해야 하는 나라, 인도 [인도 32부]'를 듣고 공부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dM9lsEqZTc
* 인도를(파키스탄도!) 세계 여러 나라가 조심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결국 '핵'이 다.
1. 중국이 엄청난 투자를 한 '파키스탄'
- 파키스탄 영토의 남북을 횡단하는 선을 그어 투자한 중국
- 이제 국내 경제 문제로 무한 투자가 불가능한 상황에 놓인 중국
- 미국의 벽에 부딪혀 있는 중국
2. 인도판 일대일로로 대응하는 인도(강의에서 볼 수 있는 지도가 참 인상적이었다. 인도가 꿈틀거리고 드디어 꿈틀거리기 시작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 최근 주가가 엄청 뛴 인도의 기업들
- 인도, 유럽으로 나아갈 수 있는 최 단거리 길을 모색하고 있다. 가능하다.
3. 아프카니스탄은 중국보다 인도를 더 좋아한다. 만약 아프카니스탄이 안정되어 주변국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중국보다는 인도를 찾을 것이다.
- 본래 아프카니스탄이 더 좋아하고 가까이 여기는 나라는 인도이다.
4. 미국이 중동지방에서 빠져나오고 싶어 하던 과정에서 중동 인접 지역에 미디에이터(중재기관) 혹은 모더레이터(문제 해결을 위한 유도 역할)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아울러 중국과 맞대응할 수 있는 국가로 '인도의 힘'을 만들었다?! 미국이 인도의 편을 많이 들어주는 가운데 인도가 중동지방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5.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전쟁에 반이슬람을 바로 표방했다. 미국의 힘을 믿고 있는 인도.
* '우리나라도 세계지도 위에 어떤 라인을 형성하는 투자를 해 봐야 하지 않을까'라는 뉘앙스의 댓글에 동감.
* 앞 바다 여러 곳에 군사기지를 확충하면서 세계 곳곳에 투자하는 모습이 미국을 이어받을 인도패권시대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는 댓글에도 역시!
'지식 > 어쨌든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도양단 (78) | 2024.03.11 |
---|---|
사방팔방 그리고 시방 (78) | 2024.03.10 |
데이비드 싱클레어(하버드 의대)의 건강한 신체 유지 조건 (72) | 2024.02.14 |
2024년 2월 3일에 유튜브 시청으로 공부한 내용 (92) | 2024.02.04 |
기전체와 편년체 (96)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