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바로 쓰고 바로 읽기

굿것

반응형

 

굿것

도깨비는 어떤 모습일까. 나는 줄곧 궁금했다. 완벽 그 자체인 우리 아버지를 해쳤다니. 픽사베이에서 가져옴

 


굿것? 

처음 읽는 낱말이다. 생경하다. 무지 낯설다. 내가 '굿'을 얼마나 좋아하는데 이 낱말을 처음 만나다니.

하고 세세히 읽어보니 '도채비'란다. 도깨비. 헐~

 

내 어릴 적 풍경 한 컷을 차지하고 있는 도채비. 도깨비를 말한다. 우리 아버지, 도깨비에 홀렸던 날(?)이 있었다.ㅎ

 

나는 진짜로 믿었다네. 성인이 되어서도 한참을 믿고 있었다네. 우리 아버지 젊은 시절 어느 날 밤 도깨비에게 홀렸다고. ㅋ

 

도깨비는 어떤 모습일까. 나는 줄곧 궁금했다. 완벽 그 자체인 우리 아버지를 해쳤다니. 우리 아버지,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어 돌아오셨던 그날 이후 나는 상당 기간 밤마다 도깨비와 싸워야 했다. 꿈 속에서. ㅋ


 

어떤 공부를 하는데 시험 문제에서 등장했다. '굿것' 해설이 너무 재미있었다. '도깨비'란다. '굿것'이. 이곳저곳 찾아보았다.


'굿것'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귓것'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이것이 현대국어에도 이어진단다.

'귀(鬼) + ㅅ + 것' - 합성어.

'귀신, 마귀, 도깨비'의 의미로 쓰였다고 한다. 즉, '귀신'의 순 우리말. 

 

제주도에서는 현재도 욕설로도 쓰이고 있다고 한다. 이 귓것아! 어이그, 저 귓것! 내 귀에는 전혀 욕설로 들리지 아니하니 이것 참~, 재미있는 놀잇말 같다.

굿것의 귓/굿(鬼)와 통하는 것으로 '굿'은 무당이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춤과 노래로 인간의 길흉화복 운명을 비는 의식이란다. 그러고 보니 굿을 할 때 치는 장단이 '굿거리'이다.

* 귀신은 원래 유령 등을 지칭한 것이 아니라 초월적인 현상들을 가리키던 말이다. 또 귀신은 귀와 신으로 구분하였는데 음의 조화를 귀, 양의 조화를 신이라 하였다. 일본이나 중국은 '귀'와 '신'을 구분하여 쓰는 반면, 우리나라는 성리학의 영향으로 귀와 신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악한 것으로 본다.

반응형

'문학 > 바로 쓰고 바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장 歸裝  (17) 2024.10.23
군입정 거리  (8) 2024.10.16
구지레하다  (31) 2024.10.09
결재 그리고 결제  (15) 2024.09.20
마들가리  (9) 2024.09.09